1. 서브넷이란?

하나의 네트워크 주소에는 수많은 호스트 ID가 존재한다. 만약에 그 많은 수의 컴퓨터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전송하면 모든 컴퓨터에 패킷이 전송되고 네트워크가 혼잡해질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할 수 있는데 이를 서브넷팅(subneting)이라고 하고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subnet)이라고 한다.

Untitled

서브네팅을 하게 되면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된 IP 주소가 네트워크 ID, 서브넷 ID, 호스트 ID로 나뉘게 된다. 아래는 A 클래스를 서브네팅한 예시이다.

Untitled

2. 서브넷 마스크란?

IP주소를 서브네팅하면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ID이고 어디부터가 호스트 ID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럴 때 서브넷 마스크라는 값을 사용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A 클래스는 255.0.0.0, B 클래스는 255.255.0.0, C 클래스는 255.255.255.0이 된다.

Untitled

서브넷 마스크는 프리픽스(prefix) 표기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리픽스 표기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슬래시(/ 비트수)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255.255.255.0은 /24가 된다.

Untitled

만약에 C 클래스 서브넷 마스크의 네트워크 ID를 28비트로 변경하면 4비트를 호스트 ID에서 빌리게 되기에 네트워크 ID 24비트, 서브넷 ID 4비트, 호스트 ID 4비트가 된다. 이 네트워크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40이 되고 프리픽스 표기법은 네트워크 ID와 서브넷 ID가 28비트가 되어 /28이 된다.

Untitled

출처 : 모두의 네트워크 -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출판사:길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