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 그 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이다.
이더넷(Ethernet)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LAN,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으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더미 허브 방지
허브에서는 한 포트에서 데이터를 받으면 나머지 포트로 보내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고자 규칙이 정해져 있다. 데이터에 목적지 정보를 추가하여 보내게 되면 목적지를 제외한 PC는 데이터를 받더라도 무시하게 된다.
2) 데이터 충돌 방지
컴퓨터 여러 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데이터들이 서로 충돌(collision)할 수도 있다. 이더넷은 이를 방지하고자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CSMA/CD 방법을 사용한다.
<aside> 🗒️
CSMA/CD는 무엇인가?
CSMA/CD는 데이터의 보내는 시점을 늦추는 방법이다. CSMA/CD에서 CS는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는 컴퓨터가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는 규칙이고 MA는 ‘케이블에 데이터가 흐르고 있지 않다면 데이터를 보내도 좋다’는 규칙이다. 그리고 CD는 ‘충돌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는 규칙이다. 현재는 효율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CSMA/CD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로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aside>
출처 : 모두의 네트워크 -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출판사:길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