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TFS에서 파일이 삭제되었을 때 파일시스템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파일에 대한 MFT Entry의 in-use flag 0으로 변경
나. 해당 MFT Entry에 대한 $Bitmap 속성을 0으로 변경
다. $DATA가 non-Resident인 경우 Cluster run 값들을 0으로 변경
라. $Bitmap 파일에서 삭제된 파일에 할당 Cluster를 Unallocated로 변경
NTFS 개념
- NTFS란?
서버급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파일 시스템으로 FAT에서 볼 수 없는 여러 가지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복잡한 편이다.
- NTFS의 특징
- 데이터 복구 기능
NTFS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볼륨에 수행하는 모든 작업에 대해 트랜잭션 단위로 기록하며, NTFS는 작업 도중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록을 조사해 봄으로써 볼륨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복구할 수 있다.
- 암호화
EFS(Encrypting File System)이라 불리며 NTFS 5.0 버전부터 지원된다.
- 압축
NTFS의 경우 파일시스템 수준의 압축 기능을 제공하며, 압축 알고리즘은 ZIP 파일 포맷으로 유명한 ‘LZ77’의 변형된 방식을 사용한다.
- 디스크 쿼터
NTFS 5.0 이후부터 제공되는 기능으로, 사용자마다 디스크의 사용량을 제한하며, Windows NT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컴퓨터를 쓰는 것을 기본으로 설계하였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볼륨의 용량을 다 써버린다면 다른 사람들은 더 이상 저장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것을 막기 위해 사용자들마다 할당량을 설정할 수 있다.
- ADS(Alternate Data Stream)
NTFS는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지원한다. 하나의 파일이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는 의미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파일의 첫 번째 스트림에는 파일의 내용을 담고, 두 번째 스트림에는 파일의 요약 정보나 파일의 아이콘 등 여러 정보를 담아둘 수 있다.
- Sparse 파일
Sparse 파일의 경우 파일의 내용이 대부분 0으로 차있을 경우 해당 파일의 내용을 그대로 볼륨에 저장하지 않고, 그 정보만을 담는 파일을 의미한다. 압축할 때 이러한 기술이 적절하게 사용되며, 이렇게 되면 디스크에 저장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 큰 용량 표현
NTFS의 경우 이론상 Exa Byte($2^{64}$)까지의 용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렇게 큰 값을 위해 64bit를 이용하면 32bit 프로세서에서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으나 NTFS는 용량 표현에 64bit를 사용하였다.
- 유니코드 지원
NTFS는 다국어를 지원핟로고 설계되어 있으며, NTFS에 저장되는 스트링 데이터는 전부 유니코드이기 때문에 다양한 다국어 지원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