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이프라인 구조에서 다음 명령어가 다음 클럭 사이클에 실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해저드
나. 인터럽트
다. 스택
라. 브랜치
- 파이프라인이란 한 데이터 처리 단계의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가리킨다.
- 해저드는 파이프라인 프로세서에서 명령어 의존성(데이터, 컨트롤, 구조)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를 말한다.
2. 다음 중 프로세스 상태의 전이가 올바른 것은?
가. 준비상태>실행상태>블록상태>준비상태
나. 준비상태>블록상태>실행상태>준비상태
다. 준비상태>실행상태>블록상태>실행상태>준비상태
라. 준비상태>블록상태>실행상태>블록상태>준비상태

3. 다음 중 인터럽트가 발생할 상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