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랜카드도 세팅해야 되나요?

LAN Card(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이런 랜카드는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랏서 이더넷용 랜카드와 토큰링용, 그리고 FDDI, ATM용으로 구분한다. 랜카드의 경우 PC와 연결할 때 접속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기에 사용하는 PC에 맞는 랜카드를 구입해야 된다.

개인이 사용하는 랜카드를 PC에서 확인하려면 제어판→하드웨어 및 소리→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을 확인하면 된다. 여기서 리소스 항목을 보면 입/출력 범위, IRQ(인터럽트 요청), Base Memory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값들은 랜카드를 통해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컴퓨터의 CPU에게 자신의 IRQ를 이용해 인터럽트를 걸고 데이터 처리를 요청하는데 사용된다.

Untitled

2. 허브 이야기 그 첫번째

허브는 직사각형의 상자에 구명이 뚫려있는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구멍이 몇 개 뚫려있느냐에 따라서 ‘몇 포트 허브다’라고 이야기하고 이 구멍의 숫자가 바로 몇 대의 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랜카드가 설치된 각각의 PC들은 케이블을 타고 바로 이 허브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같은 허브에 연결된 PC끼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Untitled

허브를 한마디로 이야기해보면 멀티포트 리피터라고 말할 수 있다. 멀티포트(Multiport)는 말 그대로 포트가 많이 붙어있다는 뜻이고, 리피터(Repeater)는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재전송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까 허브란 포트가 여러 개 달린 장비인데, 이것은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는 것이다. 참고로 리피터 장비의 경우는 네트워크 전송거리 제약이 있을 때 약해지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전에는 리피터라는 장비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허브만 사용한다. (허브에 리피터 기능이 있기 때문)

다음으로 허브에 연결된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알아보도록 하자.

  1. 하나의 허브에 총 5대의 허브가 있다고 가정하자.

  2. 1번 PC가 데이터를 허브에 전송하면, 허브는 데이터가 들어온 1번 포트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포트로 그 데이터를 뿌려주게 된다.

  3. 3~5번 PC들은 자신에게 온 데이터가 아니란 것을 눈치채고 데이터를 버린다. 여기서 나에게 온 것인지 확인하는 역할을 랜카드가 담당한다. 랜카드는 들어온 프레임의 목적지 맥 어드레스를 보고 나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한 후 자기 것이 아니면 버리게 된다.

  4. 하지만 2번 PC는 자신에게 온 데이터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받아들이게 된다. 즉 랜카드가 CPU에게 인터럽트를 걸어서 이 데이터를 처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참고로 이더넷 허브의 경우 CSMA/CD의 적용을 받기에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들은 모두 ‘같은 콜리전 도메인’상에 있다고 말하며 허브를 계속 연결해 나갈수록 콜리전 도메인의 크기는 점점 커지게 된다.

3. 허브의 한계